본문 바로가기

안전산행

사패산의 나리꽃 [안전산행 204] 250622, 나나영초, 산쓰3줍

사패산의 나리꽃 [안전산행 204] 250622, 나나영초, 산쓰3줍

- 나리꽃이 약용으로도 쓰이고 웰빙식품으로 관심이 높다니 모르는 것을 배웠다.  곧 까먹겠지만...

- 호암사위능선은 호암 사위능선이 아니다. 호암사 위능선이다.  붙여쓰다 보니 나나영초는

  처음엔 호암 사위능선으로 오해 했었다.  한글은 이렇게 띄어쓰기가 중요하다. (본문 중에서)

 

    사패산이 내 우거와 가까워 종종 오르는 산인데 사패산 정상에 나리꽃이 이렇게 반겨주는 것을 알지 못했다.   

    그동안 나도 모르게 산행을 하며 여유를 잊고 있었나 보다.

 

    사패산에 오르면 풍경 찍는 것에 바빴다.  이번에 정상부분 여기저기를 둘러보다 우연찮게 발견하게 된 것이다. 그것도 다 핀 참나리꽃 털중나리꽃 한 송이를...  

*** 참나리꽃 => 털중나리꽃으로 수정, 블친이신 풀꽃사랑s님이 알려주셨다.  몇년 전에도 나나영초의 식물에 대한 무지함을 알려 주셔서 배운 적이 있다. 

"풀꽃사랑s님 가르쳐 주셔서 감사합니다.  잊지 않도록 하겠습니다."

 

 

 

*** 산행코스 : 호원동 직동공원 - 호암사 - 넓적바위 - 사패능선 범골삼거리 - 사패산 (가던길대로 하산)

    오늘은 느릿느릿 준비하다가 시간이 너무 지나버렸다.  게으른 나나영초는 10시 넘어서야 산행을 시작한다.  출발은 호원직동공원입구에서 한다. 늦잠을 자거나 산행시간이 짧아야 하는 경우 나나영초는 사패산을 종종 찾는다. 산행할 때마다 다른 느낌이어서 좋다.

 

 

    호원직동공원을 지나 북한산둘레길인 안골길과 만나는 토끼굴로 들어간다.  터널안은 시원하다. 나가기가 싫을 수도 있다.

 

 

    북한산 둘레길 안골길과 만나는 지점이다. 나나영초는 호암사 방향으로 간다. 이쯤부터 사패산까지 약 2.9km다.

 

 

    호암사 가는 길은 아스팔트 경사길이다. 경사가 심해 등산객들이 싫어하는 길이지만 가장 빨리 올라가는 구간이기도 하다. 일주문 바로 옆에 등산로가 있다.

 

 

    호암사 옆길은 가파른 경사길이다. 하지만 짧으니 큰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 힘들면 쉬어간들 어떤가?

 

 

    백인굴이 있다. 굴 안이 넓다.  굴 안에 들어가면 못 나온다는 '말도 안되는' 이야기가 있다.

 

 

    나나영초는 사패능선 방향으로 간다.  오른쪽은 의정부시청에서 올라오는 길이다.  일명 호암사위능선이다. 

    의정부시청에서 호암사위능선을 통해 사패능선으로 오르는 등산객도 꽤 있다. 호암사 앞 경사진 포장도로가 싫어서다.

 

 

    나나영초는 호암사위능선에서 아내표 냉커피 한잔을 마시고 출발한다.

    참 호암사위능선은 호암 사위능선이 아니다. 호암사 위능선이다.  붙여쓰다 보니 나나영초는 처음엔 호암 사위능선으로 오해 했었다.  한글은 이렇게 띄어쓰기가 중요하다.

 

 

    안전쇠바길을 지나 계속 가다보면 바위길과 오른쪽으로 가는 길이 나온다.  나나영초는 바위길로 오른다. 두 길은 만난다.  바위길이 바로 넓적바위다. 

 

 

    넓적 바위의 모습이다.  넓적바위가 해발은 그리 높지 않지만 조망이 좋아 많은 사람들이 지나가다 거쳐 가곤 한다.  앞에 보이는 산 능선이 사패산1보루다.  일명 상상봉이라고도 한다.

 

 

    오른쪽 길은 성불사로 내려가는 길이다. 성불사에서 사패산으로 오를 수도 있다.  나나영초가 가끔 그렇게 사패산을 가곤 한다.  오늘은 사패능선 방향으로 간다.

 

 

    사패산 2보루 길이 막혀있다.  사유는 사패산 보루 시굴조사라고 한다. 사패산 보루에 대해 잠시 알고가야겠다. (아래)

 

*** 사패산 보루에 대하여 

규모 : 둘레  0.26km * 토기편(고구려) 「남한의 고구려유적」, 2006

입지 

    사패산 정상에서 동쪽으로 뻗어내린 가지능선을 따라 3개의 보루가 긴 삼각형을 이루며 배치되어 있다.  1보루는 사패산에서 동쪽으로 약 1.3km 떨어진 가지능선 상의 봉우리(해발 355m) 정상부에 위치한다.

유적개관

    봉우리의 가파른 화강암 암벽을 최대한 활용하면서 부분적으로 바위 사이 공간을 석축으로 연결한 것이 특징이다. 유적의 전체 둘레는 263m가량이다.

출토유물 : * 토기편(고구려)

참고문헌 : 「남한의 고구려유적」, 2006


해설

    경기도 의정부시 사패산에 위치한 고구려 보루이다. 이곳은 동쪽의 의정부 일대를 포함한 주변 지역이 한눈에 조망되며, 한강 유역에서 중랑천을 따라 북쪽의 양주 분지를 통과하거나 천보산맥의 동쪽으로 우회하여 북상하는 고대 교통로를 통제하기에 유리한 위치이다. 사패산보루군은 북한산 국립공원의 북쪽에 해당하는 사패산(해발 552m) 정상에서 동쪽으로 뻗은 능선을 따라 3개의 보루가 긴 삼각형을 이루며 배치되어 있다.


    사패산1보루는 사패산에서 동쪽으로 약 1.3km 떨어진 능선 위의 봉우리(해발 355m) 정상부에 위치한다. 동쪽의 의정부는 물론 인접한 3번 국도를 따라 북쪽의 양주분지 남단부와 남동쪽의 수락한 일대까지 잘 조망된다.

    1보루는 봉우리의 가파른 화강암 암벽을 최대한 활용하면서 부분적으로 바위 사이 공간을 석축으로 연결한 것이 특징이다. 평면 형태는 북동-남서방향으로 길게 조성되어 있으며, 장축 90m, 둘레 263m이다. 능선과 연결되는 남서쪽 외곽의 경우 높이 5m, 너비 7~8m의 석축시설이 남아있고, 남쪽 구간은 높이 2m, 너비 3.5m, 북쪽 구간은 높이 5m, 너비 1m의 석축이 확인된다.

    성 내부는 경사가 급하고 평탄지가 협소하여 소규모의 유구가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바위 위에는 어떤 시설물을 설치하기 위해 파놓은 직경 15cm 내외의 기둥 구멍이 다수 확인된다. 유물은 황갈색, 회흑색의 대형 항아리 등 고구려계 토기 조각이 수습되었다.


    사패산2보루는 1보루에서 서쪽으로 200m 떨어진 작은 봉우리(해발 390m) 정상부에 위치하며, 의정부를 비롯한 주변 일대가 한눈에 조망된다. 2보루도 1보루와 마찬가지로 가파른 자연 암벽을 그대로 활용하면서 석축시설은 취약한 곳을 중심으로 부분적으로 설치한 것이 특징이다. 평면 형태는 동서로 긴 타원형이며, 장축 66m, 둘레 172m이다. 화강암 암반으로 이루어진 봉우리 정상부에 약간의 석축이 남아 있으나 대부분 토사에 묻혀있다. 성 내부에는 바위 위에 파놓은 원형 기둥 홈이 확인된다. 유물은 주로 신라~통일신라 계통의 것이 대부분이며, 고구려 토기로 추정되는 회청색의 단단한[경질(硬質)] 토기가 소량 확인되었다.


    사패산3보루는 북서쪽의 1보루에서 800m, 2보루에서 940m 떨어진 곳에 위치한다. 이곳은 동쪽의 수락산보루와 대응하며 중랑천을 따라 남북으로 연결되는 고대 교통로를 통제하는 역할을 했던 것으로 추정된다. 정상부 외곽을 돌아가며 성벽을 쌓았으나 대부분 붕괴된 상태이다.

    평면 형태는 북동-남서방향이 긴 타원형이며 장축 100m, 둘레 250m, 내부면적 2,901㎡로 사패산보루군 중 규모가 가장 크다. 비교적 성벽의 잔존 상태가 양호한 서쪽 성벽의 경우 바깥쪽은 돌로 쌓고 안쪽은 흙으로 다져 쌓은[내탁식(內托式)] 흔적이 확인된다.

    성 내부에는 집수시설로 추정되는 평면이 둥근 석축시설이 일부 남아 있다. 유물은 주로 삼국시대 토기가 수습되었으며, 고구려 토기로 추정되는 것도 소량 포함되어 있다.

< 출처 : 동북아역사넷  :  동북아역사재단

    사패산을 찾을때는 사패산 보루를 알아야 한다고 생각한다.  적어도 고구려 유물이 발견된 보루라는 것 정도는...  3보루는 북한산 둘레길 보루길에 있다.  이 곳과는 거리가 쫌 떨어져 있다.

 

 

    범골능선에 있는 안내판이다.  초행길인 경우는 반드시 보고 지나치는 것이 좋다.

 

 

    이 바위로 오르면 전망바위가 나타난다.  하산할 때 다시 들러 조망되는 곳을 찍고자 한다.

 

 

    계속 올라가면 결국 사패능선에 도착한다.  삼거리를 범골삼거리라고 한다. 왼쪽으로 가면 회룡사거리를 만난다.  그 곳에서는 송추 또는 회룡역으로 하산할 수 있다. 자운봉으로 가는 포대능선도 갈 수 있다.

    나나영초는 사패산 방향으로 고고...

 

 

    사패능선 범골 삼거리에는 119 구급함이 있다.

 

 

    올라가고 ,

 

 

    내려가야 하는 길이 있다.

 

 

    여름과 가을철에는 나뭇잎들에 가려 사패산 봉우리가 잘 보이지 않으나 보이는 곳을 찾아내 한장 찍었다.

 

 

    왼쪽길은 원각사로 하산하는 길이다.  나나영초는 직진 고고...

 

 

    사패능선이 대체로 편한 부분이 많지만 힘든 오르막도 있다.  이 두 곳을 지나면 사패산에 거의 다다른다.

 

 

    여기 정도 왔으면 거의 다 온거다.  사패산 150m 전이다. 오른쪽 하산길은 안골로 간다.  성불사에서 올라오는 길이다. 초록색 두화살표 실선길은 모두 사패산으로 가는 길이다.

 

 

    왼쪽길로 가면 안전쇠바가 있는 길이다. 여기 도봉산 바라보는 조망이 정말 좋다.

 

 

오봉과 그 뒤로 북한산 인수봉과 백운대가 보인다.

 

 

    드디어 사패산이다. 

 

 

    사패산 정상석이다. 사패산이 높지는 않으나 전망이 뛰어나고 큰 암봉이라 마음이 편안해 진다.

 

 

산ㅇ

    사패산 정상에서 도봉산 능선을 바라 보았다.  언제나 보고픈 곳이다.

 

 

    수락산도 잘  보인다. 대기가 맑지 않아 안타깝지만...

 

 

    의정부 시내도 보인다. 

 

 

    양주 불곡산이 잘  보이지만 공기가 맑지 못해 아쉽다.

 

 

    누가 사패산 정상석으로 가고 있다.  나나영초가 절대 아니다. 모르는 분이다.

 

 

    사패산 정상에서 나리꽃을 발견했다. 사패산 정상에 참나리꽃 털중나리꽃이 있었다니 처음봐서 신기하다.  잠시 털중나리꽃과 나나영초가 잘못 안 참나리꽃에 대하여 알아보고 간다.   

*** 참나리꽃이 아니라 털중나리꽃이라고 풀꽃사랑s이 알려주심. 

 

*** 털중나리꽃에 대하여

- 분    류 : 백합과
- 서식지 : 양지 혹은 반그늘의 모래 성분이 많은 곳약재, 
- 꽃    색 : 황적색
- 크    기 : 50 ~ 80cm
- 학    명 : Lilium amabile Palib.


- 용    도 : 관상 및 약재, 어린싹은 식용
- 분포지역 : 우리나라 제주도와 울릉도, 중국 동북부
- 생활사 : 여러해살이풀
- 개화기 : 6 ~ 8월 (결실기 9 ~ 10월)

    꽃이 확 벌어져 화려한 나리꽃은 꽃 이름으로 그 형태를 유추할 수 있는데, 하늘을 보면 하늘나리, 땅을 보면 땅나리, 중간쯤에 비스듬히 있으면 중나리라고 한다. 털중나리는 털이 많이 나 있으며 꽃이 중간쯤을 바라보는 나리이다.

    제주도와 울릉도를 포함하여 높이가 1,000m 이하인 전국 각지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로, 양지 혹은 반그늘의 모래 성분이 많은 곳에서 자란다. 전체에 잿빛의 잔털이 있으며, 키는 50~80㎝이다.


    잎은 어긋나며 피침형으로 녹색이다. 잎의 길이는 3~7㎝, 폭은 0.3~0.8㎝로 뾰족하며 양면에 잔털이 있다. 잎 가장자리는 밋밋하고 잎자루가 없으며 위쪽으로 갈수록 크기가 작아진다.

    꽃은 6~8월에 황적색으로 핀다. 꽃잎의 안쪽에는 자주색 반점이 있고 길이는 4~7㎝, 폭은 1~1.5㎝이다. 꽃이 필 때 꽃잎이 뒤로 말리며 원줄기 끝과 가지 끝에 꽃이 1개씩 달리고, 1~5개가 밑을 향해 핀다. 열매는 9~10월에 익으며 넓은 타원형이고, 종자는 편평하다.

   

    백합과에 속하며 털종나리라고도 한다. 관상용이며, 어린 싹은 식용한다. 또 참나리와 함께 약재로도 사용된다. 우리나라와 중국 동북부에 분포한다. 

< 출처 털중나리 - Daum 백과 >

 

 

*** 참나리꽃에 대하여

    나리꽃의 종류는 참나리, 개나리, 털중나리, 땅나리, 하늘나리, 솔나리, 말나리, 뻐꾹나리, 애기나리, 털중나리, 섬말나리, 당나리, 철포나리, 나팔나리 등등으로 매우 다양하다.

참나리는 백합과 백합속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이다. 2004년 팬톤에서 올해의 컬러로 선정되었다.
꽃말은 '나를 사랑해주세요.'

    잎은 넓지 않고 길게 뻗어서 자라는 피침형이며 외떡잎식물이다. 잎이 줄기에 엇갈려 달리고 열매 대신 엽액에 어두운 색의 주아가 달리는데, 이로 번식한다.

    꽃은 7-8월 한여름에 피며 아파트 단지 화단에서도 쉽게 볼 수 있다. 은 주황색 계열의 바탕에 적갈색 반점이 중심쪽으로 수없이 찍히며 꽃이 뒤로 말린다. 짧은 잔털이 나며 6개의 수술과 암술이 꽃 밖으로 길게 나온다. 노란꽃의 변종도 있는데, 국내 일부 해안지대와 일본에 자생한다.

    꽃의 색이 매우 강하고 쉽게 시들지 않아 가정에서도 많이 기르며, 화원에서도 쉽게 구할 수 있다.  동아시아 지역이 원산지로 일설에서는 중국에서 재배되던 것들이 한반도 일본으로 유입되었다고 보기도 한다. 대한민국에서도 흔하게 볼 수 있는 식물로, 연해주 사할린 등지에도 분포한다.

    겨울이면 시들어버릴 것 같은 모습과는 달리 엄연한 숙근성 다년초이며 무피인경이다. 일반적으로 1m~1.5m까지 자라며, 환경이 좋은 경우엔 2.5m까지 자라는 경우도 있는 듯하다.

    참나리는 옛날부터 식용으로 널리 쓰였다. 알뿌리는 약용/식용으로 사용되었으며 비늘줄기도 약재로 쓰는데 백혈구감소증에 효과가 있으며, 진정 작용이나 항알레르기 작용이 있기 때문에 알레르기 환자들에게 복용되어왔다.   식물 내에 함유된 여러 지방산 때문에 웰빙 식품으로 관심이 높아지는 듯 하다.

    생육환경은 크게 까다롭지 않아 산야에서 흔히 자라지만 기후가 습하고 한량하며, 반음지인 곳에선 더 잘 자란다. 보수력이 있으면서 배수가 잘 되며 유기질이 많은 비옥한 땅이면 금상첨화.

    왕모래가 많이 섞인 점질양토에서도 재배가 가능하다. 주아로도 번식하는 까닭에 관리하지 않고 몇 년을 두면 순식간에 불어나는 것에 주의. 꽃도, 열매도 멀쩡히 열리는 것치곤 씨앗이 잘 성숙하지 못하는 편인데, 생육환경이 좋을 땐 주아로 번식하다가, 환경이 나빠지면 바람에 날릴 수 있는 씨앗으로 번식하는 듯 하다. 유사종으로 말나리가 있는데 웬만하면 피아로 구분이 가능하지만 일부 종은 매우 비슷한 외형을 가졌다.

< 출처 : 참나리 - 나무위키 >

    나리꽃이 약용으로도 쓰이고 웰빙식품으로 관심이 높다니 모르는 것을 배웠다.  곧 까먹겠지만...

 

 

    이렇게 암봉 위에 나리꽃이 보였다.

 

 

    털중나리꽃의 흥분을 가라앉히고 다시 사패산으로 눈을 돌린다.

 

 

    사패산에서 도봉산 능선을 바라보는 것은 특별하다.  도봉산 능선과 오봉, 백운대를 바라볼 수 있다.

 

 

    나나영초가 셀카로 사패산 정상석을 담아본다.  사진놀이를 하다가 이제 하산을 시작한다.

 

 

    사패산에서 사패능선을 타고 범골삼거리에 도착했다. 여기서 직진하면 회룡사거리를 지나 산불감시초소, 포대능선 정상, 신선대까지 갈 수 있다.  신선대(자운봉)까지는 2.9km 거리다. 나나영초는 호암사 방향인 왼쪽으로 내려간다.

 

 

    이 곳은 범골능선에 있는 봉우리인데 이름은 모르겠다.  

 

 

    올라서면 이곳 조망도 좋다. 사패산을 볼 수 있다.  

 

 

    공기는 맑지 않지만 불곡산을 바라본다.

 

 

    수락산의 모습도 잘 보인다.

 

 

    바윗길로 내려갈 수 있다.  여기선 

    사패산 2보루, 1보루가 잘 보인다.

 

 

    하산길이라도 넓적바위는 포기할 수 없다.  올라서서 

 

 

    사패산 1보루를 담고 계속 하산을 시작한다.

 

 

    호암사를 지나 호암사입구 삼거리다. 이 곳은 북한산 둘레길 안골길이다. 토끼굴로 들어간다.

 

 

    호원동 직동공원을 통해 입구에 도착한다.  

 

 

    사패산 정상을 1년이면 수차례 오르지만 정상에서 털중나리꽃은 이번이 처음이다. 

    산행을 하며 가끔 본 적은 있지만 산 정상에서 그것도 암반으로 된 정상에서 본적은 없었다. 있었다면 나나영초의 관찰력이 형편없었다는 것 밖에 되지 않는다. 

    산정상에 오르면 풍경에만 너무 연연하지 않았나 하는 생각이 든다. 바로 코 앞에 아름다운 모습이 있는데...

 

    감사한 산행길이었다..